Research 연구내용

Cancer Biology 분야

종양의 발생 및 진행 원인 규명 (암줄기세포, 전이 기전 등)

후성유전적 조절인자들에 의한 종양 제어 기전 규명

암 환자 유전체 분석 정보 기반 신규 바이오마커 (예후 진단, 치료표적) 발굴

기존 항암제 치료 내성 및 전이성 암의 신규 치료법 개발

Bioiformatics 분야

암 환자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, NGS 분석을 통한 유전변이 발굴

암 환자 multi-omics 데이터 통합 분석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 (Cancer target screenning tool)

인공지능(AI) 기반 기계학습(machinen learnign)을 통한 질병 예측, 진단, 바이오마커 개발

최근 5년 대표 연구 (2015-2021)

  • NSD3 유도 H3K36 메틸화, NOTCH 신호 활성으로 인한 유방암 진행과 전이 기전 (Cancer Res 2021, IF = 12.7)
  • CDK12 과발현을 통한 항 HER2 치료 내성 유방암 진단 및 치료법 (EMBO rep. in press, IF = 8.6)
  • 멀티오믹스 자료 분석을 통한 유방암 표적 유전자 선별 방법 (Brief Bioinform 2019, IF = 9.1)
  • MEL-18 유전자 증폭에 따른 항HER2 치료 내성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법 (JNCI 2018, IF = 12.6)
  • 히스톤 디메틸화 효소 RBP2에 의한 유방암 항호르몬제 내성 유도기전 (JNCI 2018, IF = 12.6)
  • 히스톤 디메틸화 효소 LSD1에 의한 혈관신생 유도 기전 (Oncogene 2017, IF = 7.5)
  • 유방암 전장유전체 해독 (Nature 2016, IF = 40.1)
  • 히스톤 메틸화 효소 DOT1L에 의한 암줄기세포 조절 및 전이성 유방암 유도 기전 (Nature Communications 2015, IF = 12.1)
  • MEL-18 유전자 소실에 의한 항호르몬제 내성 및 삼중음성유방암 유도 (J Clin Invest 2015, IF = 12.8)
  • UTX 유전자 소실에 의한 유방암 줄기세포 활성 기전 (EMBO Reports 2015, IF = 8.6)